발톱을 깎고 나면 쓰레기통에 버리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3만명 이상의 사람이 자신의 발톱을 투명한 봉지에 넣어 캐나다의 한 대학교로 보내진 사연이 공개돼 화제다.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달하우지대 트레버 더머 교수팀은 최근 3만 686명의 발톱을 보관하고 있다. 이는 2010년부터 시작된 캐나다 연방 정부의 대규모 건강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연구진은 단순 수집이 아닌 과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발톱을 수집했다. 2014년 이후부터는 약 3만 명의 사람들이 자신의 발톱 조각을 연구실에 우편으로 500만원대출이자 보내며 프로젝트에 동참했다. 앞서 이 대학은 기네스 세계 기록에 ‘세계 최대 발톱 수집품’으로 등재됐다. 이 발톱들은 단순한 기록 달성에 쓰인 것이 아니라, 발톱을 통해 ‘환경과 건강의 연결고리’를 찾는 과학 연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까지 수집된 발톱은 3만686개의 샘플에 달하며 2만 4999명의 것들이다. 대부분 기증된 발톱으로 특수관계자 범위 10~14개월 자란 것이다. 이 연구는 발톱이 체내 중금속 및 환경오염물질의 축적을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됐다. 발톱을 분석하면 최근 몇 개월 동안 비소 등 독성물질에 노출됐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한 발톱 기증자의 거주지와 분석을 통해 잠재적으로 위험한 물질이 많은 특정 지역을 밝혀낼 수 있는 것으 nh저축은행 햇살론 로 나타났다. 또한 발톱 샘플은 암, 심혈관질환,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 발병 요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과거 10년 이상의 환경 및 건강 데이터를 통합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수집된 발톱은 특별한 냉동고나 보관 장치가 아닌 개별 비닐봉지에 담겨 캐비닛에 보관 중이다. 연구 저자 트레버 더머 교수는 “비소를 포함한 새마을금고중앙회 이미지 일부 환경 오염 물질과 중금속은 발톱 케라틴에 축적된다”며 “이를 통해 비소가 장기적으로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해 암과 만성 질환의 발병에 기여하는 다양한 요인을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