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뉴욕 증시가 3월 첫 거래일인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강행 충격 속에 패닉 매도세를 보였다. 엔비디아가 8.8% 폭락하는 등 M7 빅테크를 중심으로 투자자들이 주식들을 대거 내던진 가운데 나스닥지수는 2.6% 급락했다. AP 연합
뉴욕 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강행에 3일(현지시간) 폭락했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은 낙폭이 2.6%를 넘었고, 대형 우량주 30개로 구성된 다우존스산업평균은 650 p 가까이 급락했다.
시황을 가
원리금상환이란 장 잘 반영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1.8% 급락했다.
M7이 일제히 하락한 가운데 관세와 밀수 우려가 겹친 반도체 업체 엔비디아는 8.8% 폭락했다.
패닉
뉴욕 증시 투자자들은 막판에 패닉에 빠졌
우리은행 신용대출 다.
오전 장에서는 다우가 상승세를 탔고, 오후로 접어들면서 하락세로 돌아서기는 했지만 낙폭이 크지는 않았다.
그러나 마감을 약 두 시간 앞두고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트럼프가 4일부터 예정대로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를 매기고, 다음 달 2일부터는 수입 농산물에 관세를 물리는 한편 상호관세도 예
공짜휴대폰요금 정대로 시행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투자 심리가 곤두박질쳤다.
다우는 전장 대비 649.67 p(1.48%) 하락한 4만3191.24, S&P500은 104.78 p(1.76%) 급락한 5849.72로 미끄러졌다.
나스닥은 497.09 p(2.64%) 폭락한 1만8350.19로 추락했다.
‘월가 공포지
현대증권 수’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3.15 p(16.05%) 폭등한 22.78로 치솟았다.
엔비디아 8.9% 폭락
엔비디아는 이중 펀치를 맞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일 소식통들을 인용
은행 대출이자율 비교 해 엔비디아 최신 반도체인 블랙웰 반도체가 말레이시아, 홍콩 등을 거쳐 중국에 몰래 들어가고 있다고 보도해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여기에 반도체 관세 전망, 트럼프의 관세 강행 등의 우려까지 더해지면서 폭락했다.
엔비디아는 10.86달러(8.69%) 폭락한 114.06달러로 추락했다.
테슬라도 하락세를 지속했다. 오전에만 해도 2% 넘는 급등세를 탔지만 투자자들이 패닉 속에 주식을 내던지자 버티지 못했다.
테슬라는 8.33달러(2.84%) 급락한 284.65달러로 미끄러졌다.
애플은 3.81달러(1.58%) 하락한 238.03달러, 알파벳은 3.27달러(1.92%) 내린 167.01달러로 마감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8.50달러(2.14%) 급락한 388.49달러, 메타플랫폼스는 13.15달러(1.97%) 내린 655.05달러로 장을 마쳤다.
아마존도 7.26달러(3.42%) 급락한 205.02달러로 주저앉았다.
인텔, SMCI 급락
인텔은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이 인텔의 1.8나노 공정 시험에 들어갔다는 보도로 초반에는 급등했지만 시장 매도세 속에 급락세로 방향을 틀었다.
인텔은 오전 장에서 1.31달러(5.52%) 급등한 25.04달러까지 치솟기도 했지만 막판에 매도세로 돌아선 끝에 결국 0.99달러(4.17%) 급락한 22.74달러로 추락했다.
지난주 재무보고서를 마감시한 안에 제출하면서 상장폐지 우려에서 벗어난 AI 서버 업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는 13% 폭락했다.
상폐 위기에서는 벗어났지만 델, HPE 등 다른 AI 서버업체들에 시장 점유율을 내줄 것이란 우려가 주가를 끌어내리고 있다.
패닉 매도세까지 더해진 탓에 SMCI는 결국 5.39달러(13.00%) 폭락한 36.07달러로 주저앉았다.
국제유가, OPEC+ 증산 예고에 하락
국제 유가는 급락하며 지난 주말에 이어 이틀을 내리 떨어졌다.
석유수출국기구(OPEC)플러스(+)가 4월부터 증산하기로 결정하면서 유가가 급락했다.
OPEC+는 성명에서 4월 1일부터 회원국들이 점진적으로 산유량 제한을 완화해 하루 220만배럴 자발적 감산을 서서히 끝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4월부터는 하루 13만8000배럴이 증산될 계획이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 경제를 하강으로 돌려세우고 있다는 우려 속에 증산 소식까지 겹치며 유가가 하락했다.
국제 유가 기준물인 브렌트유는 이날부터 근월물 기준이 된 5월 인도분이 전장 대비 1.19달러(1.63%) 하락한 배럴당 71.62달러로 미끄러졌다.
미국 유가 기준물인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4월 물이 1.39달러(1.99%) 급락한 배럴당 68.37달러로 마감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